본문 바로가기
통증

족저근막염 원인, 족저근막염 증상, 족저근막염 치료

by 일상의 순간 2025. 3. 4.
728x90
반응형

족저근막염의 원인

족저근막염은 특정 원인 없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지만,

다음과 같은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병 위험을 높일 수 있습니다.

  • 과도한 사용 및 무리한 운동: 족저근막은 걷거나 뛰는 등 발을 사용할 때마다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합니다. 장시간 서 있거나, 과체중 상태에서 무리하게 운동을 하거나, 평소 운동량이 부족했던 사람이 갑자기 운동 강도를 높이는 경우 족저근막에 과도한 스트레스가 가해져 염증이 발생하기 쉽습니다. 특히, 마라톤, 등산, 에어로빅 등 발에 반복적인 충격을 주는 운동은 족저근막염의 주요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 잘못된 신발 착용: 쿠션이 부족하거나, 발 아치를 제대로 지지해주지 못하는 신발 (예: 플랫슈즈, 하이힐, 낡은 운동화) 은 발바닥에 가해지는 부담을 증가시켜 족저근막에 염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특히 하이힐은 발 앞쪽에 체중이 집중되게 하여 족저근막에 더욱 큰 부담을 줍니다. 딱딱한 구두나 쿠션이 없는 신발 역시 족저근막에 좋지 않습니다.

 

  • 발의 구조적 문제: 평발이나 요족(오목발)과 같이 발의 아치에 이상이 있는 경우, 족저근막에 가해지는 힘이 불균형해져 염증이 생기기 쉽습니다. 평발은 발바닥 아치가 낮아 충격 흡수 능력이 떨어지고, 요족은 발의 특정 부위에 하중이 집중되어 족저근막에 과부하가 걸릴 수 있습니다.

 

  • 체중 증가: 과체중이나 비만은 발바닥에 가해지는 하중을 증가시켜 족저근막에 부담을 주고 염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임신으로 인한 체중 증가 또한 족저근막염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 노화: 나이가 들면서 족저근막의 탄력이 감소하고 발꿈치 지방 패드가 얇아져 충격 흡수 능력이 떨어지게 됩니다. 이로 인해 노년층에서 족저근막염 발병률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 아킬레스건 단축: 아킬레스건이 짧아지면 발목의 유연성이 떨어지고, 발을 디딜 때 족저근막이 과도하게 늘어나면서 염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하이힐을 자주 신거나, 평소 스트레칭을 소홀히 하는 경우 아킬레스건이 단축되기 쉽습니다.

 

  • 장시간 서 있는 직업: 교사, 판매직, 간호사 등 장시간 서서 일하는 직업군은 족저근막에 지속적인 스트레스가 가해져 족저근막염 발병 위험이 높습니다.

 

  • 기타 요인: 류마티스 관절염, 통풍과 같은 질환, 당뇨병, 신경 질환 등도 족저근막염의 발병 위험을 높일 수 있습니다.

 

족저근막염의 치료

족저근막염은 대부분 보존적 치료로 호전될 수 있습니다.

치료의 목표는 통증을 완화하고 족저근막의 기능을 회복시키는 것입니다.

  • 휴식 및 활동량 조절: 통증을 유발하는 활동을 줄이고, 발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충분히 휴식을 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운동을 하더라도 족저근막에 부담을 주는 운동은 피하고, 수영이나 자전거 타기 등 발에 무리가 덜 가는 운동으로 대체하는 것이 좋습니다.

 

  • 스트레칭: 족저근막과 아킬레스건 스트레칭은 족저근막염 치료의 핵심입니다. 꾸준한 스트레칭은 족저근막의 유연성을 높이고 긴장을 완화시켜 통증을 줄여줍니다.
    • 벽 밀기 스트레칭: 벽을 마주 보고 서서 아픈 발을 뒤로 뻗고, 앞쪽 무릎을 굽히면서 아킬레스건과 종아리가 스트레칭되는 것을 느낍니다.
    • 계단 스트레칭: 계단이나 턱에 발 앞꿈치만 올려놓고 발뒤꿈치를 아래로 내리면서 족저근막과 아킬레스건을 스트레칭합니다.
    • 수건 스트레칭: 다리를 쭉 뻗고 앉아 수건이나 밴드를 발가락에 걸고 몸 쪽으로 당겨 족저근막을 스트레칭합니다.
    • 발가락 당기기 스트레칭: 발을 반대쪽 무릎 위에 올리고 발가락을 발등 쪽으로 젖혀 족저근막을 스트레칭합니다.

 

  • 냉찜질: 통증이 심할 때는 냉찜질을 15~20분씩 하루 3~4회 정도 해주면 염증과 통증 완화에 도움이 됩니다.

 

  • 약물 치료: 소염진통제 (NSAIDs)는 통증과 염증을 줄여주는 데 효과적입니다. 심한 경우 스테로이드 주사 치료를 고려할 수 있지만, 장기적인 사용은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신중하게 결정해야 합니다.

 

  • 체외충격파 치료: 체외충격파 치료는 통증 부위에 충격파를 가하여 혈액순환을 개선하고, 손상된 조직의 재생을 촉진하는 치료법입니다. 만성 족저근막염에 효과적인 치료 방법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보조기 및 깔창: 발 아치를 지지해 주는 깔창이나 족저근막염 보조기를 착용하면 족저근막에 가해지는 부담을 줄여주고 통증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특히, 야간 보조기는 수면 중 족저근막이 수축되는 것을 방지하여 아침 통증을 줄여줍니다.

 

  • 물리치료: 초음파 치료, 레이저 치료, 전기 자극 치료 등 다양한 물리치료를 통해 통증을 완화하고 조직 재생을 촉진할 수 있습니다.

 

  • 주사 치료: 스테로이드 주사, PRP (자가 혈소판 풍부 혈장) 주사 등을 통해 염증을 줄이고 통증을 완화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주사 치료는 일시적인 효과만 있을 수 있으며, 반복적인 주사는 족저근막 파열 등의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신중하게 결정해야 합니다.

 

  • 수술적 치료: 6개월 이상 보존적 치료를 꾸준히 시행했음에도 불구하고 증상이 호전되지 않는 경우, 수술적 치료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수술은 족저근막을 늘려주는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하지만 수술적 치료는 매우 드물게 시행되며, 대부분의 족저근막염은 보존적 치료로 충분히 호전될 수 있습니다.

 

생활 습관 관리 및 예방

족저근막염을 예방하고 재발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생활 습관 관리가 중요합니다.

  • 적절한 체중 유지: 체중 감량을 통해 발바닥에 가해지는 부담을 줄입니다.
  • 쿠션 있는 신발 착용: 운동화나 쿠션이 충분한 신발을 착용하고, 하이힐이나 플랫슈즈 등 발에 무리가 가는 신발은 피합니다.
  • 운동 전후 스트레칭: 운동 전후, 그리고 장시간 앉아 있거나 서 있었을 때 족저근막과 아킬레스건 스트레칭을 꾸준히 합니다.
  • 무리한 운동 피하기: 운동 강도를 서서히 늘리고, 발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적절한 휴식을 취합니다.
  • 딱딱한 바닥 피하기: 장시간 딱딱한 바닥에서 걷거나 서 있는 것을 피하고, 쿠션 있는 매트 등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반응형